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9년 일본시리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롯데 오리온즈 엠블럼.svg
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국기.svg
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





파일:1999다이에일본시리즈우승.jpg
파일:1999다이에.png
1999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MVP아키야마 코지

1. 개요
2. 경기 내용
2.1. 1차전
2.2. 2차전
2.3. 3차전
2.4. 4차전
2.5. 5차전
2.6. 타이틀 시상
3. 총평
4. 둘러보기 틀
5. 여담



1. 개요[편집]



퍼시픽 리그 우승팀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센트럴 리그 우승팀 주니치 드래곤즈가 치른 일본시리즈로, 후쿠오카 돔나고야 돔에서 사상 최초로 시리즈 모든 경기가 돔구장에서 개최되었다.

그 유명한 오 사다하루 감독이 다이에 감독에 취임한 이후 처음으로 치렀던 일본시리즈이기도 하다.


2. 경기 내용[편집]



2.1. 1차전[편집]


10월 23일(토), 후쿠오카 돔 (관객 수: 36,199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주니치노구치 시게키000000000061
다이에쿠도 키미야스00000300X340

▲ 승리투수 : 다이에 - 쿠도 키미야스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노구치 시게키 (1패)
▲ 홈런 : 다이에 - 아키야마 코지 1호 (6회 말, 1점)

다이에의 쿠도 키미야스는 9회까지 무려 13탈삼진을 잡아내며 완봉승을 기록했다.

2.2. 2차전[편집]


10월 24일(일), 후쿠오카 돔 (관객 수: 36,305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주니치카와카미 켄신2200220008101
다이에와카타베 켄이치100000010271

▲ 승리투수 : 주니치 - 카와카미 켄신 (1승)
▲ 패전투수 : 다이에 - 와카타베 켄이치 (1패)
▲ 홈런 : 다이에 - 아키야마 코지 2호 (1회 말, 1점)


2.3. 3차전[편집]


10월 26일(화), 나고야 돔 (관객 수: 37,732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다이에나가이 토모히로000200120590
주니치야마모토 마사000000000022

▲ 승리투수 : 다이에 - 나가이 토모히로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야마모토 마사 (1패)
▲ 홈런 : 다이에 - 조지마 겐지 1호 (4회 초, 2점)


2.4. 4차전[편집]


10월 27일(수), 나고야 돔 (관객 수: 37,798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다이에호시노 준지002001000380
주니치타케다 카즈히로000000000050

▲ 승리투수 : 다이에 - 호시노 준지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타케다 카즈히로 (1패)
▲ 세이브 : 다이에 - 로드니 페드라자 (1세이브)
▲ 홈런 : 다이에 - 고쿠보 히로키 1호 (6회 초, 1점)


2.5. 5차전[편집]


10월 28일(목), 나고야 돔 (관객 수: 37,911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다이에사쿠모토 마사히로006000000672
주니치노구치 시게키101001100482

▲ 승리투수 : 다이에 - 요시다 슈지 (1승)
▲ 패전투수 : 주니치 - 노구치 시게키 (2패)
▲ 세이브 : 다이에 - 로드니 페드라자 (2세이브)
▲ 홈런 : 주니치 - 레오 고메스 1호 (3회 말, 1점), 나카무라 타케시 1호 (6회 말, 1점)


2.6. 타이틀 시상[편집]


  • 시리즈 MVP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FF3300 다이에}}}]] - 아키야마 코지 (20타수 6안타, 타율 .300 2홈런 3타점)
팀내 최다인 타율 .300과 2홈런을 기록했으며 시리즈 1차전에서 선제 결승 솔로홈런을 날렸다. 특히 3차전에서 쿠지 테루요시의 펜스에 부딪치는 장타를 펜스를 밟고 뛰어잡아 병살로 처리해 버리는 역대급 수비를 보여주면서 왕년의 5툴 플레이어의 위용과 더불어 베테랑의 관록이 무엇인가를 제대로 보여줬다.

  • 감투선수상[1] : [[주니치 드래곤즈|{{{#009 주니치}}}]] - 카와카미 켄신 (2시합 등판, 1승 0패, 평균자책점 1.80)
2차전에 선발로 등판하여 8이닝 2실점의 호투를 펼치며 이 시리즈에서 주니치의 유일한 승리투수가 되었다.

  • 우수선수상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FF3300 다이에}}}]] - 쿠도 키미야스 (1시합 등판, 1승 0패, 평균자책점 0.00)
1차전 선발투수로 나서 완봉승을 거두면서 시리즈의 기선을 잡아냈다. 특히 이 경기에서 주니치의 리드오프 세키카와 코이치를 집중 견제한 것이 적중하면서 시리즈 내내 주니치가 빈타에 시달리는 중요한 기점이 된다.

  • 우수선수상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FF3300 다이에}}}]] - 나가이 토모히로 (1시합 등판, 1승 0패, 평균자책점 0.00)
3차전 선발투수로 6이닝 무실점에 무안타를 기록하는 노히트 노런 직전급의 호투를 펼쳤다.

  • 우수선수상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FF3300 다이에}}}]] - 조지마 겐지 (18타수 5안타, 타율 .278 1홈런 4타점)
마츠나카 노부히코와 함께 팀내 최다인 4타점을 기록했으며, 3차전에서 날린 선제 2점 홈런과 더불어 우승이 결정된 5차전 3회 초에 승부를 결정짓는 2타점 적시 2루타를 기록했다.

3. 총평[편집]



3.1. 승리팀 :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편집]



3.2. 패배팀 : 주니치 드래곤즈[편집]


2차전에서 이기고 5차전은 석패했지만, 나머지 1,3,4차전에서 영봉패를 당했다.


4. 둘러보기 틀[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width=20%> 모기업 관련 정보 ||파일:소프트뱅크 그룹 로고.svg 소프트뱅크 그룹 ||
|| 일본시리즈 우승
★★★★★★★★★★
||1959 · 1964 · 1999 · 2003 · 2011 · 2014 · 2015 · 2017 · 2018 · 2019 · 2020 ||
|| 리그 우승
(21회)
||1946 · 1948 · 1951 · 1952 · 1953 · 1955 · 1959 · 1961 · 1964 · 1965 · 1966 · 1973 · 1999 · 2000 · 2003
2010 · 2011 · 2014 · 2015 · 2017 · 2020 ||
|| 퍼시픽리그 전·후기 우승
(1회)
||1973전기 ||
|| 클라이맥스 시리즈 ||2007 · 2009 · 2010 · 2011 · 2012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2 · 2023 ||
|| 시즌별 요약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현역 선수 경력 ||야나기타 유키/선수 경력 ||
||<|2> 경기장 ||1군 후쿠오카 PayPay 돔 · 2군 HAWKS 베이스볼 파크 지쿠고 · 과거 오사카 구장 · 헤이와다이 야구장 ||
||지방 홈구장 키타큐슈 시민 구장 ·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 헤이와리스 구장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
|| 홈 중계 채널 ||파일:스포츠라이브 로고.png 스포츠 라이브+ ||
|| 주요 인물 ||감독 후지모토 히로시 · 선수회장 이마미야 켄타 · 주장 쿠리하라 료야 ||
||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10.2 결전 ||
|| 틀 문서 ||<bgcolor=#000000>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역대 감독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5. 여담[편집]


  • 양대리그 팀의 홈구장이 모두 사상 처음으로 일본시리즈를 개최한 사례이기도 하며, 1989년 일본시리즈 이래 10년 만의 일이다.


  • 5차전에서 구원 등판한 다이에후지이 마사오는 시즌 종료 후 말기 폐암이 발견되면서 투병에 들어갔으나, 끝내 회복하지 못한 채 이듬해인 2000년 10월 13일 사망하면서 이 시리즈 5차전이 생애 마지막 등판이 되고 말았다.

[1] 패배한 팀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는 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8:47:48에 나무위키 1999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